산후풍
산후조리
임신과 출산은 인생의 큰 사건이면서 건강상의 중대한 고비가 되기도 합니다. 출산 후의 문제는 대부분 임신전이나 임신 중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업 사회활동 직장생활로 이어지는 늦은 결혼과 산모의 연령증가, 임신 중 면역체계와 호르몬의 변화, 체중증가에 따른 근골격계와 순환계의 부담, 태아와 산모의 영양공급문제, 제왕절개나 유도분만의 후유증, 수유와 육아로 인한 수면부족 만성피로 목 어깨 근육 관절통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
산모가 산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자칫 영양불량, 스트레스 등이 가중되어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출산연령이 늦어질수록 산후관리는 임신 전 상태로의 회복을 위해 필수입니다.
출산 직후에는 생화탕 이라는 약으로 자궁 내 어혈을 제거하고 오로 배출을 촉진시키도록 합니다. 이후에는 부족해진 기혈을 보충하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부종을 치료하고 비만을 예방하며, 육아로 인한 온몸의 관절 통증을 치료하는 약을 복용합니다.

출산 후 건강문제
- 요통
- 골반통
- 손목통증
- 하혈
- 자궁수축
- 지연
- 유방통
- 산후발열
- 유즙분비저하
- 부종
- 산후비만
- 갑상선종대
산후풍
출산 후 산모에게 발생하는 분만 및 산욕 관련 질병을 ‘산후 풍’ 이라고 부르며 산후병의 특징으로는 다허(多虛)와 다어(多瘀)를 들 수 있습니다. 허증(虛證)은 분만 중 힘을 너무 많이 쓰고 산도(産道) 손상으로 출혈이 있어 산모의 원기가 손상되고 기혈이 부족한 증상이며, 어증(瘀證)은 자궁이 정상으로 회복되는 과정에서 어혈이 쉽게 정체되어 응체되는 증상입니다.
대표적인 산후풍 증상으로는 관절 이상, 전신 또는 신체일부에 찬바람이 들어오는 느낌, 어깨 결림, 팔다리 저림, 식욕부진, 우울증, 출산 후 회복 과정에서 열감과 답답한 가슴 통증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산후 풍 관리를 위해 산모의 붓기를 내리고 몸의 회복을 돕는데 필요한 약재로 한약 처방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환자의 체질 요인이나 영양불량, 스트레스 등이 가중되면 여러 가지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신과 출산으로 허해진 몸의 회복기에 한의학의 도움을 받으시면 발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산후병도 예방되고, 정상적인 몸의 상태로 빨리 돌아가기가 더 쉽습니다. 산모가 산후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산후 100일 동안은 신체회복에 집중해야 합니다. 특히 이 시기에 산후보약을 처방받아 복용하면 출산 이전의 건강 상태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출산 후 산모는 분만, 산욕 등 관련 질병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산후 관리가 필요하며
산모가 산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자칫 영양불량, 스트레스 등이 가중되어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후 회복기에 들어선 여성이 한방 치료를 받으면 각종 산후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몸 상태를 임신 전 상태로 빠르게 되돌리는 것도 한결 더 쉬워집니다.
한의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산모의 산후관리를 위해 산후 100일 이내에 산후보약을 처방해 복용하게 합니다. 산후보약은 가능하면 분만 후 식사가 가능해진 시점부터 복용하는 게 효과적이며, 어혈 제거 및 오로배출 촉진 효능이 있는 한약을 복용한 뒤 쇠약해진 기혈을 보강하는 치료를 병행하면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